지난 1월, 한양대학교(이하 한양대) 양 캠퍼스(서울캠퍼스, 에리카캠퍼스)가 6차례의 등록금심의위원회(이하 등심위) 끝에 등록금 인상(내국인 학부 4.9%, 외국인 유학생 학부·대학원 5%)을 결정했다. 학교 측은 등록금 인상분을 △장학 체계 개선 △시설 보수·개선 △교육 환경 개선 등에 활용하고 예산 운영을 투명하게 할 것을 약속했다.

외국인 유학생 등록금 5% 인상... 의견 충돌 없어
등심위는 먼저 외국인 유학생 등록금 협상을 진행했다. 학교 측은 학부·대학원 등록금 5% 인상 및 대학원 입학금·연구등록금 동결을 제안했다. 학생 측은 인상에 앞서 등록금에서 할당되는 학생지원비의 집행 계획을 명확히 할 것을 요청했다. 내국인과 외국인 학생에게 할당되는 학생지원비의 구분이 모호해 예산이 원활하게 집행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에 학교 측은 해당 예산의 집행 사항 및 잔액을 확인하고 내국인과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사업을 구분할 것을 제안했다. 이후 학생 측이 빠르게 학교 측의 제안을 수용하며 지난 12월 24일 열린 제3차 등심위에서 외국인 유학생 등록금이 의결됐다.
내국인 등록금, 학생 측 요구 수용하며 인상 결정
한편 내국인 등록금 협상은 난항을 겪었다. 학교 측이 제안한 학부 등록금 인상 비율은 5.2%였다. 장기간 등록금을 동결하며(서울캠퍼스 14년, 에리카캠퍼스 16년) 재정적 어려움이 생겼다는 것이 주요 이유였다. 덧붙여 부족한 재원으로도 지속적으로 학교의 발전을 위해 투자해 왔음을 어필했다.
이에 학생 측은 학부생 설문 결과를 제시하며 학부 등록금 동결을 요청했다. 서울 캠퍼스 제53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월 6일부터 4일간 서울캠퍼스 학부생 1,033명을 대상으로 등록금 인상에 관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절반에 가까운 학생들이 ‘등록금을 동결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49.7%), ‘등록금을 인하해야 한다’는 의견이 뒤를 따랐다(29.7%).
이후 중앙운영위원회와 논의를 거친 학생 측은 학부 등록금 인상을 수용하는 조건으로 요구안을 제시했다. 요구 사항은 △등록금 인상 관련 소통 창구 개설 △국가장학금Ⅱ유형 수혜 중지 대책 마련 △등록금 인상분의 단기적 활용 계획 공개였다. 국가장학금Ⅱ유형은 대학생의 등록금 부담 완화를 목적으로 한국장학재단에서 대학과 연계해 운영하는 장학 제도로, 등록금을 동결한 학교에서만 시행할 수 있다.
학교 측은 학생 측의 요구에 수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등록금 인상 관련 소통 창구 개설’에 대해서는 등심위 등 학생 대표와의 회의를 통해 학생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학교 측은 추가로 요구된 △대학원 장학 혜택 확대 △안전 집중 관리 기간 운영 등의 검토를 약속했다.
세부 조율을 마친 양 측은 지난 1월 17일 열린 제6차 등심위에서 내국인 등록금의 학부 등록금 4.9% 인상 및 대학원 등록금·입학금·연구등록금 동결에 의결했다.
연간 약 40만 원 추가 부담, “학생들 위해 쓰여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2024년도 한양대의 연평균 등록금은 8,564,320.6원이었다. 등록금이 인상된 올해부터는 학기에 등록하려면 작년 대비 20만 원가량을 추가로 납부해야한다.

한양대 학생 박지원 씨(23)는 등록금 인상 논의 소식을 접하자, 학내에 대자보를 부착했다. 학교 측에 상세한 등록금 인상 근거와 향후 계획, 추가 인상 방지책 마련을 요구하기 위함이었다. 박 씨는 “이번에는 5%지만 앞으로 얼마나 더 오를지 모른다”며 걱정을 표했다. 동시에 “(등록금 인상으로) 남는 재원을 학생들을 위해 쓴다면 괜찮다고 본다”며 “앞으로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월 7일, 한양대는 이메일과 문자 등으로 학생들에게 등록금 인상 협의 금액과 대략적인 인상분 투자 계획을 발송했다. 서울캠퍼스 제53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등심위에서 등록금 인상분 활용에 관한 추가 협의를 진행하고 있음을 알렸다. 반대 여론에도 인상을 결정한 등심위가 학생들의 마음을 돌릴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안재현 기자(screamsoloo@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