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과 가정에 책임 떠넘기는 등록금 인상 반대한다” “대학과 교육부의 자성으로 대학 재정 구조 개편하라” “윤석열 정부는 실질적 반값등록금 시행하라” “윤석열 정부는 등록금 인상 아닌 등록금 인하로 답하라”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이하 전대넷)는 29일 오후 1시,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등록금 동결 규제 완화, 등록금 인상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전대넷은 지난 23일 있었던 등록금 인상에 대한 정부 입장에 “대학 재정의 어려움을 정부와 대학의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서 대학생, 청년, 가정에만 재정의 책임을 떠넘기는 정부와 대학을 규탄한다”며, 반대하는 뜻을 밝혔다. “등록금 인상 규제 완화는 학생과 가정에 책임을 전가하는 무책임한 정책” 2021년 전대넷 설문에 따르면 ‘실질적 반값등록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91.9%의 학생들이 찬성했다. 이를 바탕으로 전대넷은 기자회견을 통해 “2022년도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물가 상승으로 인해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이 커졌다”라며, “지금까지 전국의 대학들이 등록금심의위원회에서 계절학기 등록금, 외국인 유학생 등록금을 인상하고 성적 장학금을 줄여왔기 때문"에 학생들이 체감하는 등
필자는 어려운 환경에 처한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주변 환경을 극복하고 도전적인 자세로 부딪히는 사람들의 사례를 찾아다녔다. 그러던 중 영화 <니얼굴>을 발견하게 되었고, 어느 곳에도 속할 수 없었지만 그 경계를 허물고 세상에 발걸음을 내딛는 소녀의 모습이 작품의 첫 시작점이 되었다는 감독의 말에, 인터뷰를 청하게 되었다. <니얼굴>은 발달장애인 은혜 씨가 그림을 그리면서 내면을 치유하고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은혜 씨의 모습을 조명함으로써 관객들에게 긍정의 기운을 전달해 줌과 동시에 할 수 있다는 믿음을 안겨주고 있다. 결핍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목표를 이루기 어렵다는 선입견을 깨준 영화일뿐더러,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사랑하자는 메시지가 담겨있어 관객에게 따뜻함을 전해주고 있다. 서동일 감독은 세상의 수많은 은혜 씨가 영화를 통해 긍정의 힘을 얻었으면 좋겠다며 바람을 전했다. Q. <니얼굴>을 제작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 영화의 주인공이 된, 은혜 씨의 그림이 계기가 되었다. 선의 형태가 독특해서 눈길을 끌었고, 무엇보다 개성 있게 사람들의 얼굴을 그려주어서 인상적이었다. 은혜
“사람들이 책을 읽지 않는 건 진화의 증거다 (중략) 책 안의 사람들은 책 밖에서 학살될 것이다” -허연 <환멸의 도서관> 넓게 보면 텍스트도, 텍스트 저널리즘을 표방한 레거시 미디어도 낭떠러지에 이르는 현실이 아닐까. 서울 유명 대학에 재학중인 김씨(26·여)는 언론인을 꿈꾸고 있다. 평소 종이 신문을 읽으며 꿈을 키워나가던 김씨는 최근에 시사 스터디에 가입하게 되었다. 얼마 되지 않아 그는 다소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되었다. 스터디원 6명 가운데 ‘종이신문’을 구독하는 사람이 자신밖에 없다는 것이었다. 다른 스터디원들에게 구독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묻자 그들은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을 통해 똑같은 기사를 접할 수 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김씨는 다소 의아하다는 표정을 지었다. 그는 “그래도 언론인을 희망한다면 종이 신문은 구독해야 되는 것 아니냐”며 연신 고개를 갸웃거렸다. △종이 신문이라는 매체 특성 △구독 해지의 어려움 등 저마다 다른 이유를 내세웠지만 결론은 하나로 수렴되었다고 그는 전했다. 김씨는 의구심에 가득 찬 목소리로 “(예비) 언론인도 읽지 않는 종이 신문을 이제 누가 읽을 것인가”라며 하소연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