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1 (토)

대학알리

대학민주화

"다른 학교와 비교돼요" 대학생 불만 키우는 제각각 재수강 규정

대학마다 다른 재수강 규정으로 대학 간 학점 불평등 유발
학점 인플레·대학 평가 변화로 일부 대학에선 재수강 규정 완화하기도

 

“(다른 학교와) 비교가 될 수밖에 없죠. 규정 때문에 성적 차이가 나는 거니까…”


K 대학 3학년생인 김 씨는 올해 1학기 한 교양 강의를 재수강했다. 1학년 때 해당 강의를 수강하면서 받았던 낮은 학점을 만회하기 위해서였다. 매주 많은 양의 과제물과 팀 발표가 있었지만 김 씨는 교수에게 칭찬까지 받을 정도로 강의에 열심히 임했다. 하지만 김 씨는 최종적으로 B+을 받았다. 김 씨와 함께 팀을 꾸렸던 학생들은 A+을 받았지만, 김 씨는 재수강이란 이유로 규정상 최대 B+까지만 학점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동일하게 1학기에 강의를 재수강했던 김 씨의 타 대학 친구는 A0를 받았다. 김 씨는 “재수강 규정을 알고는 있었지만, 성적을 받아보니 (규정에 대한) 불만이 생길 수밖에 없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김 씨의 사례처럼 대학마다 다른 재수강 규정이 재학생들 간 학점 불평등을 유발하고 있다. 대학별로 재수강 규정이 각기 달라 재학생의 최종 학점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각 대학은 학사 운영에 관한 규정에 따라 자율적으로 재수강 규정을 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학마다 재수강이 가능한 횟수와 재수강 시 받을 수 있는 학점의 상한에 제한을 두고 있다. 수업을 처음 듣는 학생과 재수강하는 학생 간 불평등을 최소화하고, ‘학점 세탁’을 위한 지나친 재수강 남발을 막는다는 취지다.


하지만 대학마다 자율적으로 정한 재수강 규정이 오히려 불평등을 일으킨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학점이다. 각 대학의 학사 규정에 따라 재수강 시 학점 상한이 대학마다 제각각이기 때문에 동일하게 재수강했음에도 타 대학 재학생과 학점 격차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졸업 후 취업 활동에서 평가 기준으로 학점이 고려되는 경우가 많아 학생들 사이에서 학점은 ‘고고익선’으로 여겨진다.


K 대학에 재학 중인 김 씨는 “(재수강을 하면) 다른 학교는 A 학점을 받을 수 있는데, 우리 학교는 B+이 최대다 보니 (다른 학교에 비해) 학점이 뒤지지 않을까 불안감이 든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 주요 대학의 재수강 시 최대 학점 상한은 B+에서 A+까지 널리 분포돼 있다. 하지만 ABCDF 등급제로 환산하면 B+과 A+ 사이엔 1.0의 학점 격차가 존재한다. 학점을 올리기 위해 재수강을 선택한 학생들에겐 이 격차가 불합리하게 느껴질 공산이 크다.


과거 S 기업에서 인사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A씨는 “(지원자의) 스펙이 어느 정도 비슷하면 결국 학점이 높은 쪽이 우선시될 수밖에 없다”며 “학교마다 재수강 규정이 어떻게 다른지 면접관들은 일일이 파악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학교마다 제각각인 재수강 규정이 향후 취업 활동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끼칠 수도 있는 것이다.


재수강 규정이 오히려 상대평가에 들어맞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다. H 대학에 재학 중인 최 씨는 “재수강이든 아니든 더 성적이 좋은 사람이 더 좋은 점수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처음부터 최대 학점을 정해놓으니 (재수강 강의에선) 과제물을 열심히 해도 의미가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학생의 노력 여하가 아닌 규정에 따라 학점을 부여하기 때문에 자칫 역차별을 일으킬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반대 의견도 있다. 재수강을 하는 학생은 이미 강의를 한번 수강했기 때문에 강의를 처음 듣는 학생보다 유리하다는 이유이다. J 대학에 재학 중인 황 씨는 “재수강을 듣는 학생들은 해당 강의에 대한 지식이 이미 있기 때문에 시험이나 과제에 이점이 있다. (학점 상한이 없다면) 재수생에게 더 유리한 구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부 대학에서는 재수강 학생만 신청이 가능한 강의를 따로 열어 학생 간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도 했지만, 교원 부족으로 해당 제도를 전체 강의로 확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들어 각 대학은 재수강 규정을 개정해 학점 상한을 높이려고 시도하고 있다. 숭실대학교는 지난 2015년 재수강 규정을 강화해 학점 상한을 A-에서 B+로 낮췄다.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의식해 엄격한 학사 관리에 나선 것이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학생들 사이에서 재수강 요건 완화라는 공감대가 형성됐고, 지난 2021년 숭실대는 학점 상한을 다시 B+에서 A-로 높였다. 2015년 학점 거품을 막기 위해 ‘C0 이상 재수강 불가’라는 강경책을 꺼내 들었던 중앙대학교도 2020년 재수강 요건을 크게 완화한 바가 있다.


이러한 대학의 재수강 규정 완화는 학점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대학 학사 정보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기간에 절대평가가 시행되면서 학점 인플레이션이 크게 발생했다”며 “종래의 재수강 요건은 이러한 상황에 맞지 않아 학생들이 느끼는 괴리가 컸다”고 설명했다. 대학 평가의 변화도 영향이 컸다. 과거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는 ‘성적의 엄정성’이 대학 평가 기준이 포함됐다. 각 대학이 학생들이 관대하게 성적을 부여할수록 대학 평가에서는 오히려 감점될 수 있었다. 하지만 대학구조개혁평가가 대학기본역량진단으로 바뀌면서 학사관리 항목의 비중이 크게 줄었다. 관계자는 “학사 관리 항목의 비중이 이전보다 감소하면서 학생들의 성적을 엄격하게 관리해야 할 명분이 이전보다 적어졌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