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대학알리

대학언론

검열 모자라 돈줄까지…언론탄압 일삼는 동덕여대

교지 <목화>, 최근 5년간 검열 3번 당해… 예산 지급까지 사실상 중단

동덕여자대학교가 교지편집위원회 <목화>에 대해 최근 5년간 3번의 검열을 진행한 것에 이어 예산 지급까지 사실상 중단했다. 이사장의 비리 의혹과 대학 본부의 공학전환 추진을 비판한 대가다. 대학언론인들은 언론 탄압을 멈추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목화교지는 최근 5년간 대학 본부에 의해 3번의 검열을 당했다.

49집에서는 조원영 동덕학원 이사장의 평창동 거주 사실 및 개인 주택 구매와 취득세 면세를 위한 약 20억원의 비리 의혹에 대한 기사가 삭제됐다. <뉴스타파>가 공개한 정보와 총학생회에서 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기사를 작성했지만 삭제 권고를 받은 것이다. 이외에도 '그 많던 등록금은 누가 다 먹었을까 - 코로나19와 등록금'이라는 기사 제목은 '이것은 우리의 권리다 - 코로나19와 등록금'으로 수정됐다. 학생이 사망했던 안전사고를 다룬 53집의 '학교가 자리해야할 곳에' 기사는 전반적인 내용이 변경됐다.

최예인 목화교지 편집장은 "검열 이후 기사의 삭제, 수정 등의 조치에 응하지 않을 시 교지의 폐지 혹은 지원비 감축 등을 일방적으로 강요받았다"고 말했다. 동덕여대 관계자는 "원고 수정 조치는 검열이 아니다"라며 "교지 소속 학생들이 학교에 대한 내용을 만드는 중에 잘못된 정보나 비난이 있을 경우 세칙에 따라 지도교수가 지도할 수 있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러한 상황의 배경에는 군사독재정권 시절 학생들을 통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학도호국단 학칙'이 있다. 동덕여대는 '학생간행물 발간 및 배포에 관한 시행세칙'을 통해 간행물을 발간하고자 하는 학생단체나 학생은 간행물 발간 승인원을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발간 승인원은 총장의 승인을 받아 학생처장이 허가한다.

비민주적 학칙에 의한 검열은 동덕여대만의 문제가 아니다. 2018년 박경미 의원실의 자료에 따르면, 전국 4년제 대학 184개교의 학칙 및 학생 관련 규정 중 간행물 사전 승인 조항이 있는 곳은 132개교(71.7%)에 이른다. 2021년 국가인권위원회는 "간행물 등 학생 자치 활동에 총장의 승인을 받도록 하는 학칙을 개정하거나 폐지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최근 목화교지는 검열에 이어 유일한 수입원마저 잃어 존립이 위태롭게 됐다. 2월 20일 대학 본부는 사전 안내 없이 등록금 고지서에서 교지편집비를 제외했다. 같은 달 26일 학생처장은 목화교지와의 면담에서 "학교와 독립된 자치기구"라는 근거로 "앞으로는 교지편집비를 지급하지 않겠다"고 통보했다. 교지편집비는 등록금을 낼 때 총학생회비와 같이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납부할 수 있었고, 목화교지는 교지편집비를 매학기 학교로부터 전달받아 교지를 발간해왔는데, 대학 본부가 더이상 교지편집비 수납 대행을 하지 않겠다고 이야기한 것이다.

최예인 편집장은 "예산 지원이 중단된다면 간행물 발간 및 배포에 대한 승인 절차가 폐지돼야 한다"고 맞섰다. 하지만 대학 본부는 "학칙에는 현실성이 없는 것도 있다"며 승인 절차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교지가 학교와 독립된 자치기구라고 말한 것과는 모순된다.

동덕여대 관계자는 "신입생들이 '교지편집비와 총학생회비를 등록금과 함께 필수로 내야 하는 걸로 착각했다'며 불평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교지는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끔 한 것이다. 교지 구성원들이 지도교수와 함께 학생들에게 교지편집비를 받을 수 있도록 홍보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상황을 지켜본 대학언론인들은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원지현 대학언론인 네트워크 의장은 "학생들은 등록금 납부 시 이미 자발적으로 교지편집비를 납입해왔다. 그럼에도 동덕여대는 간단한 납부조차 대행하지 않겠다고 한다. 수납 방식 변경을 핑계로 학생자치기구를 탄압하려는 것이다. 매년 검열을 자행하는 것도 모자라 돈줄까지 막으며 언론자유를 침해하는 대학 본부를 규탄한다"고 했다. 고려대 <석순>·성균관대 <정정헌>·숙명여대 <파란>·이화여대 <이화>·중앙대 <녹지> 등 교지들도 "학내 언론 탄압을 멈추고 학생들의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라"며 공동성명을 냈다.

최예인 편집장은 "대학 본부와 협의해 예년대로 (수납 방식을) 회귀하려 노력할 것"이라면서도 "어떻게 당장의 교지편집비를 마련할 수 있을지 방법을 모색해봐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펀딩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새로 들어온 구성원들과 함께 논의해 활동 방향을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