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이 기고] 책상에만 앉아 숫자만 들여다보는 그들에게 외친다
2022 대선대응 청년행동 릴레이 기고 : 서울교육대학교 이혜진
교육부와 정부는 직접 학교에 가보고 이를 담은 정책을 만들어라! 어렸을 적 나는 초등학교 선생님이 되고 싶었다. 교대를 진학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나의 생각과 가치관, 심지어 말 한마디에도 아이들이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점점 나는 교사라는 자리의 책임감을 느끼게 되었다. 교생을 나가면 교실 내 모든 아이가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고민하게 된다. 마음 같아서는 상위권 아이들부터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까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하고 싶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수업이 불가능하다는 학교 선생님들의 대답뿐이다. 학생들 한 명 한 명을 챙겨서 운영하기에는 교실에서 신경 쓸 것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코로나 시기 지금까지 나는 모든 교생실습을 비대면으로 참여했다. 줌으로 진행하려니 수업에서 다루는 내용을 아이들이 듣고는 있는지,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25명 중 소수 몇몇 친구들의 대답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화면에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학생들은 말 그대로 40분의 수업 하는 동안 버려졌다. 코로나로 닫힌 학교, 오히려 드러난 학교의 중요성 코로나19 이후 초,중,고등학교가 비대면으로 운영되면서 오히려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