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의 이야기 미용실에 가면 거울을 못 보겠다. 전신거울에 조명이 비추고 내 세목들이 드러나는 느낌이다. 길어서 부스스 떠 있는 머리, 덜 민 수염 같은 것들이 보인다. 그 공간에 나만 있는 게 아니라 미용사가 같이 있어서 드러난다기보다 발각되는 기분이다. 오랫동안 거울의 눈을 맞추지 못하겠다. 감거나 시선을 내리깔아서 거울에 비친 모습을 보지 않으려 애쓴다. 길이가 괜찮냐고 물으면 괜찮든 괜찮지 않든 거울 보는 게 어색해서 금방 네, 하고 대답한다. 4학년이 됐다. 공고는 항상 응시자격부터 써 있다. “응시 자격”은 최소한의 기준을 공표하는 셈이다. 이것조차 없다면 당신은 이곳에서 할 수 있는 게 없다. 그렇게 말하는 것 같다. ‘응시 자격’ 밑엔 ‘우대 사항’이 있다. 생소한 능력들이 나열돼 있고 나는 열심히 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 말고 다른 능력이 없다. ‘우대사항’은 능력의 유무를 가름하여 여기 필요한 사람인지 따져보겠다는 선언처럼 들린다. 응시 자격이나 우대사항을 뒤적이는 행위는 미용실에서 거울 보는 것과 비슷하다. 별로 보이고 싶지 않은 걸 보이는 기분이다. 자신의 쓸모가 발각되는 것 같다. 내 쓸모의 세목이 줄 서 있다. 줄은 별로 길지 않고
미소는 왜 집을 포기했을까. 영화 <소공녀>에서 미소는 취향을 포기할 수 없어 방을 뺀다. 미소는 욕심이 없다. 일한 만큼 노동의 대가를 지불 받고 그 돈으로 집세 내며 기호품 사는 생활 너머를 꿈꾸지 않는다. 그럴 필요를 못 느끼는 인물에 가깝다. 미소에겐 미래로 나아갈 여력을 모으는 것 보다 지금 내가 얼마나 행복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담뱃값이 오르자 그녀는 집과 기호품 중에 기호품을 고른다. 가방을 꾸려 옛날 동창들의 집을 전전한다. 가사노동 제공과 숙식을 등가교환 하는 식이다. 동창들은 미소를 이해하지 못한다. 동창들의 상식과 통념으로 판단한 미소는 현실감각 없는 이다. 담배피고 위스키 마시기 위해 집을 포기했다는 미소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모르겠다. 드럼 치던 대용의 집에 머물렀을 때 대용은 자기 집이 감옥 같다고 말한다. 주택 융자로 대출받은 집은 원금 포함하여 한 달에 백만원이 이체된다. 대용의 월급은 190만원이다. 백만원씩 20년을 납부하면 그제서야 ‘자가’가 됐다. 20년 동안 그 집에서 이탈하는 게 불가능하다. 생존이 보장돼야 취향 향유도 가능하다. 생존 여부를 가름하는 것들 중에 주거가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집이 있
어른이 되고 싶었다. 14년 2월 춘천에 처음 왔다. 신입생 수강신청 설명회에 참석하기 위해서였다. 대학생이 됐다는 자각이 처음 들었다. 가는 내내 들떠 있었다. 대학생이란 언어는 어른의 초입에 서 있다는 선언처럼 들렸다. 하고 싶은 것들을 할 수 있는 게 어른이라고 생각했다. 통제나 금기를 걱정하며 가능성을 모색하는 건 미성년이다. 나는 대학생이 됐다. 어른이 된 것 같았다. 시간이 지나면 누구나 성취하는 언어일 거다. 그러나 보편적이라고 해서 특별하지 않은 건 아니다. 그래서 실실 웃고 있었을 테다. 남춘천 역사에 도착했다. 부 역명이 강원대학교라 표기돼 있으니 도보를 통해서도 금방 갈 수 있을 거라 짐작했다. 오리엔테이션 건물에 다다르는데 50분이 넘었다. 더이상 실실 웃을 수 없었다. 대학생이란 자각 같은 건 희석됐다. 매일 50분 넘게 걸어 학교에 당도할 수 없었다. 가는 법을 강구해야 했다. 2월 28일 입학식에 참석하려 다시 춘천에 왔다. 역사 근방에 버스 정류장이 있었다. 30분을 기다렸다. ‘강대후문’이란 정류장을 통과하는 버스만 드물게 있었다. 정문이든 후문이든 어차피 강원대학교란 이름과 동시에 호명되는 것들이니 금방 갈 수 있겠다고 생각하
능력주의를 표방하는 시대다. 능력의 유무 혹은 능력이 얼마나 계발됐느냐에 의해 개인의 성취가 가름된다. 성취는 보상으로 이어진다. 모두가 ‘0’에서 출발함을 전제하고 경쟁과 노력 여하에 따라 가장 능력 있는 이가 응당한 대가를 받는다는 식이다. 환경, 자본 같은 것들이 변수로 작동할 수는 있다. 그럼에도 결국 능력을 가진 이가 합당한 사회적 보상을 쟁취할 거란 기대다. 능력주의를 신앙처럼 떠 받드는 이들은 개인의 노력을 강조한다. 시련은 누구나 겪는 통과의례 같은 거다. 극복 가능한 시련만이 부여된다. 자수성가의 신화가 그것을 반증한다. <정의론>을 썼던 하버드 대학 교수 존 롤스는 능력주의를 착시라 규정했다. 능력은 순전히 운에 의해 좌우된다. 태어날 때 이미 배당된다. 그건 계발한다거나 경쟁을 통과한다고 해서 더 나아지는 게 아니다. 보통의 인간은 후천적으로 능력을 학습한다지만 능력을 계발할만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개인이 선택할 수 없다. 환경 역시 운이다. 어떤 가정에서, 환경에서 태어날지 개인이 선택할 수 없다. 그는 고등학생 때 2주 인턴을 하고 의대 병리학 논문의 제1저자가 됐다. 논문 저자가 돼 본 경험을 비롯한 여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