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이하 경희대) 서울캠퍼스 학생회관 내부에 엘리베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학생들이 7층 건물을 걸어 올라가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학교 측은 엘리베이터 설치 계획이 계속 변동된다는 입장이지만, 최근 서명 운동이 진행되는 등 엘리베이터 설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경희대 서울캠퍼스 건물 중 학생회관, 음악대학, (구)한의대 건물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해당 건물들은 강의실, 동아리방, 학생회실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중에서도 학생회관은 1960년에 지어진 7층 건물이며, 40개가 넘는 동아리방과 휴게실, 심리상담센터, 인권센터 등 대학 생활에 중요한 각종 시설이 위치해 있다. 특히, 오는 12월 경희대학교 학생지원센터의 학생회관 이전이 결정되며 학생들의 접근성 문제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생∙소수자인권위원회(이하 학소위) 울림이 올해 2학기 대동제(9/25~9/26)와 지난 11월 4일부터 7일까지 총 6일간 교내에서 학생회관 엘리베이터 설치 서명운동을 진행했으며, 학생, 교수, 시민 등 총 1,054명이 서명했다.
장애 학생은 학생회관 입구에 들어가는 것부터 난관이다. 학생회관은 지면에 닿아 있지 않고, 음악대학 건물 위에 지어져 있다. 음악대학을 지나 학생회관 건물로 들어가려면 계단을 이용해 가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는 데다가 출입구 역시 하나뿐이다. 계단을 올라가 학생회관 출입구에 도착했다 하더라도 학생회관 내부 역시 엘리베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학생들이 고층까지 걸어 올라가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학소위 울림은 지난해 2학기 소통 간담회에서 학생회관 엘리베이터 설치를 안건으로 제시했다. 학소위에 의하면, 당시 총무관리처가 "음악대학 건물 신축 계획이 있으며, 해당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학생회관과 연결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올해 1학기 소통 간담회에서는 정부 지원이 없어 엘리베이터 설치가 어렵다며 답변을 번복했다.
이에 학소위는 지난 2학기 소통 간담회에서 학생회관 엘리베이터 설치를 포함해 경희대학교 전 건물 배리어프리 조성 계획안 수립을 다시 한번 요구했다. 총무관리처는 "현재 학생회관 건물은 엘리베이터 설치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경사로가 있어 외각으로 설치한다고 해도 통로가 나오지 않는 상황이다. 내부는 학생회관 모든 층의 공간을 조정하고 리모델링하지 않는 이상 엘리베이터 설치는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학소위 운영위원 A 씨는 대학알리와의 인터뷰에서 "정부 지원이 들어온다고 해도 음악대학 신축과 엘리베이터 설치에 대한 사항은 미지수"라며 "학생회관 엘리베이터 설치 등 장애 학생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요구해왔지만, 우선순위에서 항상 밀리는 것 같다는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총무관리처 관리팀 관계자 B 씨는 대학알리와의 통화에서 "개발 계획은 계속 생겼다가 없어지고, 실질적으로 자금이 생겼을 경우에 (시공이) 착수된다"고 답했다. 이어 "의대나 다른 건물들도 신축 계획이 있으나, 자금을 관리팀에서 다 준비할 수가 없다"며 "복합적인 상황에 따라서 건물의 신축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계획이 있다 하더라도 꼭 하는 것도 아니"기에 학생회관 건물 신축과 더불어 엘리베이터 설치 계획의 불확실성을 표현했다.
총무관리처 관리팀 관계자 B 씨의 답변은 앞서 학소위 운영위원 A 씨가 정부 지원이 들어왔을 때 음악대학과 학생회관 건물을 가장 우선순위로 설치할 것인지는 의문이라고 주장한 것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A 씨는 대학이라는 공간은 강의실이 전부라고 보지는 않는다며 "오히려 동아리나 학생회를 하면서 배우는 것이 더 많을 수도 있고, 수업을 듣는 것을 포함한 모든 활동이 대학에서 학생들이 누려야 하는 권리라고 생각하"고 "현재까지 그 부분이 침해당하고 있다는 점을 꼭 짚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어 "비장애인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일이 장애인에게는 당연하지 않은 일일 수도 있다는 것을 전달하고 싶다"며 현 상황의 개선을 호소했다.
학소위 울림은 서명운동 결과를 추후 학교 측과 후속 면담 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학생들의 요구를 학교 측에 전달, 압박하여 학생들이 당연한 권리를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정수연 기자(jsyeon1013@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