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회대-가톨릭대 1회 교류전 개최, 종교개혁 매치 성사 3월 32일, 우리 학교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가톨릭대학교와 1회 정기 교류 체전이 열렸다. 본교 교무처는 “이전부터 가톨릭대와는 종교 유사성을 이유로 학점교류 등 활발히 교류해왔다”며 “이번 정기 체전 개최도 이런 교류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많은 학생들은 종교개혁으로 성공회가 탄생한 역사에 착안해 ‘종교개혁 매치’, ‘교황 대 국왕 매치’, ‘신앙심 배틀’이라는 별칭으로 부르며 즐거워했다. 하지만 양측 학생회는 이런 별칭이 양 종교에게 민감하게 여겨질 수 있는 사안이라고 판단, 대회 일주일 전 이례적으로 “두 학교 학생회 모두 베스트팔렌 조약을 존중하며, 이 정신 아래에 모든 정기전이 진행될 것”이라며 ”학교 건물의 이용권을 두고 경기를 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라는 성명을 냈다. 가톨릭대학교 출정미사 (가톨릭대학교 홈페이지) 성공회대학교 출정미사 (성공회대학교 홈페이지) 양측 학교의 응원전은 시작부터 종교전쟁 그 자체였다. 대회 시작 하루 전,
썸네일: 서울법원종합청사. 사진/뉴스토마토 [성폭력 대처하기] GoGo, 고소! 고소米 고소You, 캐치You 감방Go 사건 발생, 고소 결심 기자의 지인들이 성추행을 당했다. 피해자는 기자가 아는 사람만 20명, 모르는 사람까지 합치면 70명이 넘는다. 아무리 세상에 조질 놈 많다지만 저 정도일줄은 몰랐다. 이 상황에서 할 일은 하나. 직접 조지는 거다. 기자와 친구들은 고소를 결정했다. 고소 과정과 결과를 기사로 남기는 이유는 하나다. 피해자 스스로가 자신의 권리를 온전히 행사하며, 상처를 치유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기 때문이다. 고소장, 어떻게 쓰는거지? 고소를 결정했다면, 가장 먼저 고소장을 써야한다. 경찰에 제출해야하는 서류는 대부분 경찰청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지만, 따로 정해져있는 양식은 없기에 직접 만들어도 무방하다. 하지만 꼭 들어가야 하는 사항은 있다. 1. 고소(고발)인 인적사항 신고를 하는 사람의 이름, 연락처, 주소를 말한다. 주민등록번호는 꼭 적을 필요는 없다. 증언일정 조율, 사건경과 전달 등이 모두 고소장에 적은 연락처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고소장에 적은 주소로 법원출석명령장이 온다. 기자 본인이 고소한 사건에 대한
모든 사람은 덕질을 한다. 내 친구의 지론이다. 나도 동의한다. 덕질을 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뿐만 아니라 아이돌은 물론 반려동물, 자식, 특정 분야의 학문 등 무언가에 빠져 심취하고 즐거워한다면 그것은 ‘덕질’이라고 일컫는데 일체 부족함이 없다. 나의 경우는 포켓몬이 덕질의 대상이다. 다 큰 남자가 어울리지 않게 무엇이냐는, 성차별적이고 연령주의적 요소가 다분한 발언이 귀찮아 덕질을 잠시 쉬기도 했지만 현재는 그딴 관점에 기반한 발언이 하등 건강하지 않음을 깨닫고 당당히 덕질을 하는 중이다. 다만 연령주의와는 별개로 나이를 먹어가며 돈, 시간, 이동에 관한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졌고, 이것이 내 풍요로운 덕질에 큰 공을 세웠음은 부정하지 않는다. 상기한 덕질을 잠시 쉰 기간, 일명 ‘휴덕’ 기간 동안 사지 못한 포켓몬스터 게임 중 몇 종이 단종되었는데 고등학교 졸업 전 알바로 번 돈을 사용해 웃돈을 주고 중고를 구매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내 덕질은 훗날 ‘무인편’(AG, DP 등 시리즈 명이 붙지 않은 본편 애니 시리즈)으로 불리는 초창기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으로 시작해,
신입생이 바라보는 대학 민주주의 우리는 과연 언제쯤 학교를 믿을 수 있을까? 별다른 기대를 하지는 않았지만 작년까지 고등학생이었던 나도, 음주와 1교시의 환상적인 조합에 찌들어가는 대학생이 된 지 두 달여째다. 입학 전부터 이 기사를 쓰고있는 지금까지, 대학 생활에 대해 큰 기대감을 가져본 적이 없다. 물론 아예 기대하지 않았다면 거짓말이겠지만 관념적이고 틀에 박혀 있음직한 캠퍼스의 로망보다는 입대와 취업문제가 더 크고 현실감 있지 않은가. 그런데, 입대와 취업 못지않은 문제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생각보다 심각했다. 설명 없는 설명회, 인권과 평화의 대학? 3월 15일, 메시지 한 통이 왔다. ⓒ박재연 기자 당일 오전에 발송된 문자를 읽으며 문득 학보에서 관련된 내용을 본 것을 기억했다. 가방에서 학보를 꺼내 펴들었다. 18학번부터 과 없이 입학한다는 내용이 눈에 들어왔다. 설명회에 참석하고 싶었지만 시간이 없었다. 어쩔 수 없이 선배가 녹음해온 파일을 들었다. 설명회에는 설명이 없었다. 18학번부터 적용될 예정이라는 단일학부제 제도는 4학년까지의 커리큘럼 조차 채 완성되어있지 않았다. 2학년까지 학교에서 내세우는 인권, 평화, 민주주의, 생태
신입생이 바라보는 대학 민주주의 우리는 과연 언제쯤 학교를 믿을 수 있을까? 이 기사는신입생이 바라보는 대학내 민주주의①에서 이어집니다. 학생 의견이 묵살될 수 밖에 없는 이유 이런 일이 벌어지는 이유는 간단하다. 학생이 대학 운영에 참가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자체가 미비하기 때문이다. 고등교육법과 사립학교법에서 등록금심의위원회와 대학평의원회 등 학생의 학교운영 참여 보장을 명시하고 있지만, 위 표에서 볼 수 있듯 현재 대부분 대학의 학칙이 이를 제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등교육법 제46조는 학생의 학교 운영 관여를 불가능하다고 규정하고 있어 법 안에서도 모순되는 조항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학교의 경우, 등록금심의위원회 규정 제2조는 총 위원 9명중 3명을 학부생 2명, 대학원생 1명으로 구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등록금 인상이 감점 요인이 되며 등록금 동결이 일반화된 지금, 큰 실효성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한 우리 학교 대학평의원회는 학부생 1명, 대학원생 1명의 참여를 규정하고 있지만, 최소 11명 이상으로 구성되는 위원회에서 2명만으로는 실질적으로 학생들의 목소리가 힘을 얻을 수 없다. 학내 민주주의는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