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를 마치고 자리를 뜨려던 참이었다. 취재원이었던 학교 관계자가 나에게 질문을 하기 시작했다. “요즘 신문이 나오긴 나오나요?” 그가 묻자 내가 대답했다. “지면 발행이 사실상 중단된 상황이라 온라인으로만 업로드되고 있습니다.” 내 말을 듣던 그가 곰곰이 생각을 하더니 다시 한마디를 덧붙였다. “사실 우리 학교 신문이 필요한지 솔직히 잘 모르겠네요” 할 말이 많았지만 그의 말에 반박하지 않았다. 긴 토론 아니면 싸움이 될 것이 뻔했기 때문이다. ■ “왜 지방대 학보사가 특별하게 중요할까?” “왜 우리 대학에 신문이 필요한가요?” 학보사 기자로서 2년 넘게 활동하며 수도 없이 들은 질문이다. 이런 질문을 받으면 허탈하기도 하면서 분하기도 하다. 그러면서도 늘 스스로 ‘그러게 왜 필요할까?’와 같은 질문을 던진다. 지방대 학보사 기자를 역임했던 이들에게도 막상 이 같은 질문을 하면 돌아오는 대답은 “막상 중요하다고 생각은 하는데 뭔가 딱 짚어 말하기가 어렵다”거나”애매하다”라고 말한다. 대학 내 학보사의 필요성은 전국 모든 대학에서 적용되는데 ‘우리 대학’ 즉, 지방대에서 특별하게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 ‘朴대통령 탄핵 정국’,
흔히 학보사 기자들이 모여하는 이야기 소재는 패턴이 비슷하다. 우선 언제, 누가, 어떻게 퇴사할 건지 그야말로 서로를 기만한다. “에이~ 난 국장까지 해야지”부터 “난 올해 안에 퇴사한다”까지. 그동안의 경험을 비추어보면 모두 말과 행동이 정확히 반대였다. 그 다음 ‘누가 가장 입사를 후회하는가?’ 대결이다. 이어서 이번 기사를 마감하면서 어떤 기자가 ‘가장 고되게’ 기사를 마감했는지 가려내기까지. 이 세 단계의 정형화된 대화가 늘 이어진다. 마치 남자 선배들이 모이면 똑같은 소재의 ‘군대’ 이야기나 친한 친구들끼리 만나면 늘 하는 이야기를 마치 처음 같이 풀어내는 것처럼 말이다. ■ 대부분의 지방대 학생들, 대학 이름 ‘스펙’으로 못 내세우는 암울한 현실… 대부분의 지방대 학생들은 학벌주의 아래 굴러가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이미 패배한 것으로 간주되고, 이들은 ‘2등 시민’으로 분류된다. 그나마 인서울 주요 대학의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대학 이름을 스펙 삼아 활동할 수 있지만 다수의 지방대 학생들은 학교 이름 때문에 흔히 좋은 직장이나 큰 꿈을 생각하는 것을 스스로 단절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 인재 전형이나 공기업, 공공기관 아니면 공무원 등 그나마 학벌을 덜
글을 쓰기 시작하며… 왜 이 글을 쓰게 되었나? 지방대 학보사는 조금 특별한 곳이다. 올바른 교내 문화 형성을 위해 학내 잘못된 일이 있으면 비판의 칼날을 갈아야 하는 ‘교내 민주주의’의 대표적 상징이기도 하고, 지역 담론을 대학생의 시각에서 담아내는 특별한 곳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사는 이미 없어진 지 오래이다. 흔히 ‘이촌향도’, ‘서울 공화국’이라는 단어로 대체되는 쪼그라드는 지방의 현실답게 문화 형성 주도는커녕 학우들과 지역민들의 무관심뿐 아니라 대한민국 주류 사회에서도 잘 언급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지방이 사실상 와해되고 있고, 지역 청년들의 사기와 자긍심 역시 추락하여 고꾸라진 채 방치된 지 오래다. 지방 대학의 언론인으로서 이러한 어려움을 주변 지인들에게 호소하더라도 “쓸데없는 거 뭐하러 하노 군대나 가삐라” 같은 도움 안 되는 답변이 돌아온다. 부당한 처우를 해결하고자 학보사 차원에서 움직이면 일이 커져 '백지 발행' '편집국장 해고' 같은 대형사고(?)로 번지기에 늘 속으로 삭히거나 편집국 내부에서 서로 한탄하며 버티는 실정이다. 이 같은 지방 대학 언론인들의 자세한 속 사정이나 그들이 무엇을 하며 사는지를 성역 없이 자유롭게 보도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