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언론’은 대학 사회 담론, 문화 형성 등 또 다른 민의 기관.. 그러나, 기자 개인 업무에 허덕이니 학보 대학 담론의 진지한 고민 어려운 실정 현대 최초의 낭만주의 시인으로 꼽히는 윌리엄 블레이크가 남긴 명언이 있다. ‘바쁜 꿀벌은 슬퍼할 겨를이 없다’ 모 정치인이 이 명언을 “바쁜 벌꿀은 슬퍼할 시간도 없다”고 하여 한동안 크게 화자 되기도 했었다. 윌리엄 블레이크의 명언을 보며 “아! 이것이 전형적인 우리 대학 언론인의 상황이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그동안 <대학알리>를 통해 학보사의 어려움을 알리고, 학보사의 중요성을 독자들에게 설득해왔다. 그 과정에서 많은 지방대 학보사 기자들과 연락하며 기자 생활을 하는 동안 본인이 어려웠던 점, 지방대 학보사의 중요성 등을 물어봤는데, 공통되게 돌아오는 대답들이 있었다. 바로 “사실 한 번도 이런 것들을 제대로 고민해 본 적이 없다”는 것이다. 무슨 소리냐고 되물으니, “그동안 취재, 학교 행정 업무가 너무 바빠 기자 개인 업무에만 몰두했지 진지하게 지방대 학보사의 담론 형성과 같은 것을 고민해 본 적이 잘 없다”고 대답했다. 즉, 기자 일 하는 것조차 너무 바빠서 우리가 왜 존재해야 하는지
■ 우리 학보사, 작년부터 ‘반쪽’ 온라인 → ‘완전’ 온라인화 결정 “이제 우리 신문사 영구 보존판을 없애고, 새로운 체계가 도입될 거야. 모든 기사는 시기 상관없이 온라인으로 다 업로드하고…” 작년 초 첫 신문사 회의에서 선배 국장이 가장 먼저 꺼낸 말이었다. 기존의 우리 학보사는 1년에 2번 (개교기념호, 창간기념호) 지면 발행이 이뤄줬으나 학기당 보통 4회 정도 PDF로 지면을 만들어 「대구대 신문사 영구보존판」에 업로드하는 방식의 ‘반쪽’ 온라인 체계였다. 즉, 영구보존판을 없애고 발행 시기에 상관없이 언제든지 기사를 온라인으로 업로드하는 형식의 ‘완전’ 온라인화를 결정한 것이다. 1년에 2번 발행되던 기존의 종이 지면은 예산과 내부 상황을 판단하여 인쇄하는 것으로 했다. 완전히 학보사 운영 체계가 뒤바뀌는 내부 ‘개헌(改憲)’이나 마찬가지였다. 대학 본부가 재정난을 빌미로 계속하여 교내 언론 예산을 감축하는 상황서 나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궁여지책으로 나온 대책이기도 했다. ■ 바야흐로 디지털 시대 … 학보사도 피할 수 없는 사회적 질서 바야흐로 디지털 시대이다. 추억을 운운하며 아날로그 감성을 그리워하긴 내 나이가 썩 많진 않지만 그래도 어릴
취재를 마치고 자리를 뜨려던 참이었다. 취재원이었던 학교 관계자가 나에게 질문을 하기 시작했다. “요즘 신문이 나오긴 나오나요?” 그가 묻자 내가 대답했다. “지면 발행이 사실상 중단된 상황이라 온라인으로만 업로드되고 있습니다.” 내 말을 듣던 그가 곰곰이 생각을 하더니 다시 한마디를 덧붙였다. “사실 우리 학교 신문이 필요한지 솔직히 잘 모르겠네요” 할 말이 많았지만 그의 말에 반박하지 않았다. 긴 토론 아니면 싸움이 될 것이 뻔했기 때문이다. ■ “왜 지방대 학보사가 특별하게 중요할까?” “왜 우리 대학에 신문이 필요한가요?” 학보사 기자로서 2년 넘게 활동하며 수도 없이 들은 질문이다. 이런 질문을 받으면 허탈하기도 하면서 분하기도 하다. 그러면서도 늘 스스로 ‘그러게 왜 필요할까?’와 같은 질문을 던진다. 지방대 학보사 기자를 역임했던 이들에게도 막상 이 같은 질문을 하면 돌아오는 대답은 “막상 중요하다고 생각은 하는데 뭔가 딱 짚어 말하기가 어렵다”거나”애매하다”라고 말한다. 대학 내 학보사의 필요성은 전국 모든 대학에서 적용되는데 ‘우리 대학’ 즉, 지방대에서 특별하게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 ‘朴대통령 탄핵 정국’,
흔히 학보사 기자들이 모여하는 이야기 소재는 패턴이 비슷하다. 우선 언제, 누가, 어떻게 퇴사할 건지 그야말로 서로를 기만한다. “에이~ 난 국장까지 해야지”부터 “난 올해 안에 퇴사한다”까지. 그동안의 경험을 비추어보면 모두 말과 행동이 정확히 반대였다. 그 다음 ‘누가 가장 입사를 후회하는가?’ 대결이다. 이어서 이번 기사를 마감하면서 어떤 기자가 ‘가장 고되게’ 기사를 마감했는지 가려내기까지. 이 세 단계의 정형화된 대화가 늘 이어진다. 마치 남자 선배들이 모이면 똑같은 소재의 ‘군대’ 이야기나 친한 친구들끼리 만나면 늘 하는 이야기를 마치 처음 같이 풀어내는 것처럼 말이다. ■ 대부분의 지방대 학생들, 대학 이름 ‘스펙’으로 못 내세우는 암울한 현실… 대부분의 지방대 학생들은 학벌주의 아래 굴러가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이미 패배한 것으로 간주되고, 이들은 ‘2등 시민’으로 분류된다. 그나마 인서울 주요 대학의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대학 이름을 스펙 삼아 활동할 수 있지만 다수의 지방대 학생들은 학교 이름 때문에 흔히 좋은 직장이나 큰 꿈을 생각하는 것을 스스로 단절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 인재 전형이나 공기업, 공공기관 아니면 공무원 등 그나마 학벌을 덜
글을 쓰기 시작하며… 왜 이 글을 쓰게 되었나? 지방대 학보사는 조금 특별한 곳이다. 올바른 교내 문화 형성을 위해 학내 잘못된 일이 있으면 비판의 칼날을 갈아야 하는 ‘교내 민주주의’의 대표적 상징이기도 하고, 지역 담론을 대학생의 시각에서 담아내는 특별한 곳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사는 이미 없어진 지 오래이다. 흔히 ‘이촌향도’, ‘서울 공화국’이라는 단어로 대체되는 쪼그라드는 지방의 현실답게 문화 형성 주도는커녕 학우들과 지역민들의 무관심뿐 아니라 대한민국 주류 사회에서도 잘 언급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지방이 사실상 와해되고 있고, 지역 청년들의 사기와 자긍심 역시 추락하여 고꾸라진 채 방치된 지 오래다. 지방 대학의 언론인으로서 이러한 어려움을 주변 지인들에게 호소하더라도 “쓸데없는 거 뭐하러 하노 군대나 가삐라” 같은 도움 안 되는 답변이 돌아온다. 부당한 처우를 해결하고자 학보사 차원에서 움직이면 일이 커져 '백지 발행' '편집국장 해고' 같은 대형사고(?)로 번지기에 늘 속으로 삭히거나 편집국 내부에서 서로 한탄하며 버티는 실정이다. 이 같은 지방 대학 언론인들의 자세한 속 사정이나 그들이 무엇을 하며 사는지를 성역 없이 자유롭게 보도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