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이란 기존 질서에 대한 도전과 변화를 의미한다. 존재 자체가 혁명인 연극 ‘혁명의 춤’이 원로 연출가 김우옥을 만나 23년 만에 한국예술종합학교(이하 한예종) 정기 공연으로 올라온다. ‘혁명의 춤’은 국내에 몇 없는 구조주의 연극의 대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김우옥 연출가는 1983년을 시작으로 2000년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이 작품을 공연했다. 이번 한예종 정기 공연이 다섯 번째 무대다. 안무가 최수진의 지도를 받은 20명의 연기과 학생이 배우를 맡았다. 더불어 △극작과 △무대미술과 △연출과 등으로 구성된 연극원 학생 약 20명이 스텝으로 참여한다. 공연은 다음 달 1~3일, 한예종 연극원 실험무대에서 막을 올린다. 줄거리도, 등장인물도, 무대 조명도 없는 연극 구조주의 연극은 실험극의 한 종류다. ‘이야기’를 중심으로 흘러가던 기성 연극에서 벗어나, 오롯이 연극의 구조와 원리에만 집중한다. 하나의 개념을 해체했다가 다시 합치는 과정을 있는 그대로 관객에게 보여주는 것이 구조주의 연극의 특징이자 매력 요소이다. ‘혁명의 춤’의 원작은 ‘전위연극의 권위자’라고 불리는 마이클 커비(Michael Kirby) 교수의 작품이다. 커비 교수는 연극의 본질적
물가 상승으로 대학생들의 식비 부담이 커진 가운데, 지난 6일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이하 전대넷)는 ‘천원의 아침밥’ 예산 확대를 촉구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천원의 아침밥'은 아침 식사 결식률이 높은 대학생들의 식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와 대학교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사업이다. 정부에서 1,000원을 지원하고 학생이 1,000원을 지불하면 나머지 비용은 대학 본부가 부담한다. 전대넷이 지난달 5일부터 11일까지 대학생 2,000여 명을 대상으로 ‘등록금 및 생활비 인상에 대한 전국 대학생 인식 조사’를 진행한 결과, 99%의 대학생들이 물가 인상을 체감하고 있으며 그중 가장 부담스러운 지출로 식비가 뽑혔다. 정부는 이런 상황을 고려해 지난달 29일 '천원의 아침밥' 예산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전대넷은 "현재의 예산 확대는 전국 대학생들에게 적용하기 턱없이 부족하다"며 학식 지원 예산 확대와 학식 사각지대 해소를 촉구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전대넷은 입장문에서 "천원의 아침밥 예산 확대를 환영하지만, 사업 특성상 15억으로는 대규모 학교, 국립대학, 수도권 대학 중심으로밖에 지원할 수 없다"며 "재정난으로 학생 식당 자체가 없는 학교나 중식비용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