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운 새벽 탓에 무거워진 어깨를 어루만진다. 천막을 통과한 뜨거운 햇빛에 짙은 그림자가 졌다. 바람이 세차게 분다. 노끈과 테이프를 동원해 위태로운 곳을 정비한다. 누군가 새빨간 화분을 주고 갔다. 불합리에 굴복하지 않는 당신들의 투쟁을 양분 삼겠다는 응원처럼 보였다. “얘를 잘 키워보자고 다짐했어요” 조그만 화초가 뿌리내려 식물로 성장하기까지, 쉽게 끝나지 않을 투쟁임을 인지한듯 보였다.주말에도 기획처의 불은 밝았다. 이 불은 누구를 위한 것일까. 총장실은 여전히 굳게 닫혀 있다. 오늘은 어제가 되어 흘러가지만 반드시 기록될 테다. 그들은 다시 의지를 다졌다. 달이 떴다. 그래도 밤은 추웠다. <글 제공=박성빈 기자> ①"어두운 밤에도 꺼지지 않을게요"https://univalli.com/news/article.html?no=22908 ②"아직 별 다른 일은 없었어요"https://univalli.com/news/article.html?no=22912
10월 10일 황지수 숙명여대 총학생회장은 학생참여 총장직선제를 요구하며 무기한 노숙농성에 돌입했습니다. 대학알리에선 노숙농성이 끝나는 날까지 숙명여대 총장선출제도에 관한소식을전하겠습니다. 12일(토) 낮 숙명여대 제1캠퍼스 순헌관 사거리에 위치한 농성장은 천막 보수로 분주했다. 같은 시간, 숙명여대 행정관 5층에 위치한 기획팀 사무실은 주말임에도 불이 켜져 있었다. 황지수 숙명여대 총학생회장이 '학생참여 총장직선제' 쟁취를 위한 무기한 노숙농성에 돌입한 지 3일째다. 바람이 강해지면서 농성장 천막에 잔고장이 생기기 시작했다. 황 회장은 "천막을 저희가 지은 거라 많이 부실해요"라며 "급한 대로 바람을 막으려고 방풍용 비닐을 스테이플러로 찍었는데 다 무너졌어요. 이제 그걸 다시 노끈으로 묶고 단열벽지도 새로 붙여야죠"라고 했다. 순헌관 사거리의 유동인구는 평일보다 줄었다. 황 회장은 "토요일이어서 (사람들이) 많이 오진 않았고, 오늘은 꽃 화분을 선물로 받았죠”라며 “얘를 잘 키워보자고 다짐했어요. 자신은 없지만"이라고 웃어 보였다. 이어 황 회장은 "어깨가 좀 많이 결렸는데, 그것 말고는 아직 괜찮아요"라고 했다. 주말동안 숙명여대 총장직선제에 대
낮은 더워서 그들은 소매를 걷었다. 잘 잤냐는 물음에 그는 춥지 않았다고 답했다. 파리한 기색은 없었다. 눈자위는 형형했는데 피로를 담아서 였는지도 모르겠다. 종종 지지를 표명하는 학생들이 방문해 힘을 실어줬다. 덕분에 그들은 웃을 수 있었다. 누군가는 천막을 응시한다. 금방 다가가지 못한다. 잘못 개입해 그들의 서슬을 망치면 어쩌나 자문하는 것 같다. 사위는 조용했다. 잿빛이 됐다. 종종 다른 빛이 점멸했다. 그들은 계속 거기 있다. <글 제공= 박성빈 기자> ①"어두운 밤에도 꺼지지 않을게요"https://univalli.com/news/article.html?no=22908
10월 10일 황지수 숙명여대 총학생회장은 학생참여 총장직선제를 요구하며 무기한 노숙농성에 돌입했습니다. 대학알리에선 노숙농성이 끝나는 날까지 숙명여대 총장선출제도에 관한소식을전하겠습니다. 11일(금) 학생참여 총장직선제 쟁취를 위한'총학생회장 무기한 노숙농성(이하 노숙농성)' 2일 차엔 예상치 못한 무더위가 찾아왔다. 숙명여대가 위치한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이날 낮 최고 기온은 26도에 달했다. 숙명여대의총장선출제도 논의는 오는 16일(수) 이후재개될 전망이다. 황지수 숙명여대 총학생회장은 "다음 주 수요일에 기획처에서 (교수협의체) 회의 후 결과를 전달하겠다고 했다. 회의 후엔 (총장선출제도 논의에) 진척이 있으리라 기대한다"며 "하루 이틀 만에진척이 있으리라생각하지 않아서 일단은 느긋하게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황 회장은 "기획처로부터 8월 후반부터 (교수협의체) 회의를 시작했다고 전해 들었지만'이번에도 논의가 지지부진했다' '기다려 달라'는 말이 전부였다"며 "교수협의체에 누가 속해 있는지를 물어봐도 알려주는 사람이 없다"고 했다.교수협의체는 숙명여대 단과대학별임의로 선정된 교수총 12인으로 이뤄진다. 다음 주부터 숙명여대 총학생회는 숙명여
낮인데 날이 찼다. "소감이요? 아직 잘 모르겠어요. '저녁에 춥겠다' 뭐 이런 생각?" 그는 웃고 있었다. 사명감이나 결기보단 당연한 의무를 수행하는 것뿐이라는 감각인 듯했다. 이들은 자문하거나 의심하지 않았다. 이들에겐 온당하지 않음을 발언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해 보였다. 밤이 됐다. 날은 더 추워졌다. 피로를 내색하지 않는 이들이었다. 천막 사이로 새어 나온 빛은 당분간 꺼지지 않을 것처럼 보였다. <글 제공= 박성빈 기자>
10월 10일 황지수 숙명여대 총학생회장은 학생참여 총장직선제를 요구하며 무기한 노숙농성에 돌입했습니다. 대학알리에선 노숙농성이 끝나는 날까지 숙명여대 총장선출제도에 관한소식을전하겠습니다. <영상제공=이새롬 기자> 공동행동 후 이틀만에...10일 노숙농성 선포 숙명여대 총장, 오후 2시 긴급 회의 소집 숙명여대 제51대 총학생회 '오늘'의 황지수 총학생회장이 오늘(10일) 오후 1시 17분 학생참여 총장직선제 쟁취를 위한무기한 노숙농성에 돌입했다. '총학생회장 무기한 노숙농성(이하 노숙농성)'은 숙명여대 순헌관 사거리에서 이뤄진다. 숙명여대 제1캠퍼스의 중심에 위치한 순헌관 사거리는 숙명여대 교수진의연구실이 다수 위치한수련교수회관으로 이어지는길목이기도 하다. 황 회장은 선포식에서 "지난 5월 23일 3,000명이 모인 전체학생총회, 8일 500명이 모인 공동행동에서도 학생들은 총장직선제를 외쳤지만 본부와 교수 사회는 여전히무응답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학생참여 총장직선제'를 쟁취할 때까지 순헌관 사거리에서 노숙을 하겠다"고 했다. 이에 이날 오후 2시 숙명여대 총장은기획처 직원을 소집해긴급 회의를 진행했다. 숙명여대 총학생회는 학생지원
8일(화) 저녁 숙명여대 제1캠퍼스 순헌관 사거리에서 ‘학생참여 총장직선제 쟁취를 위한 10월 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이 열렸다. 공동행동은 ►구호 ►발언 ►노래 ►피라미드 무너뜨리기 퍼포먼스・ 현수막 찢기 퍼포먼스로 이뤄졌다. 학생들은 “학생들도 유권자다 깜깜이선거 개정하라” “올해가 가기 전에 총장직선제 쟁취하자” “학생참여 25% 총장직선제 보장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총장 직선제 실현을 요구했다. 황지수 숙명여대 제51대 총학생회장은 지난 9월부터 예비 시행된 생리공결제를 언급하며 “우리는 창학 113주년인 이제야 ‘건강하게 수업을 들을 권리’와 ‘아프면 수업을 듣지 않을 권리’를 얻었다”며 “학생참여 총장직선제는 생리공결제보다 우리의 일상을 더욱 많이 바꿀 것이다”고 학생들의 지속적인 연대를 당부했다. 숙명여대 총학생회의 요구안은 ►제20대 총장 선거에 학생 직접 투표율 25% 반영 ►총장 선출 제도 개선 TF(Task Force)팀에 학생 비율 30% 보장 ►총장 선거관리위원회 학생 회원 30% 보장 ►총장 후보 검증 간담회 개최 등이다. 공동행동에 참여한 곽세정(숙명여대) 씨는 “지난 전체학생총회에 3,000명에 가까운 학우가 참석했지만, 교